home < 현장스케치
- (주)프로토텍, 업계 유일의 컬러 복합재료 3D 프린터 공개
- “스트라타시스, 계속 3D 프린터 업계 선도할 것”
- 기사입력 2014-09-29 01:00
-
-
(주)프로토텍 기술영업부 장시훈 주임
지난 9월 16일부터 19일까지 일정으로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2014 국제자동화정밀기기전’에는 FA기기, 금속가공기기, 포장기기, 부품 · 소재 · 공구 등 다양한 관련 업체들이 참가했다. 그 가운데 세계적으로도 명성이 높은 3D 프린팅 업체가 소수 참가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주)프로토텍은 스타라타시스(Stratasys) 3D 프린터 한국 공식 판매점으로 이 전시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스트라타시스와 2012년 합병한 이스라엘 회사 오브젯(Objet) 제품을 국내에 소개했다.
(주)프로토텍 기술영업부 장시훈 주임은 “올해 컬러 3D 프린터 Objet500 Connex3를 출시했다. 뿐만 아니라 Endur라는 신소재를 개발해 보다 풀컬러 인쇄가 가능해졌다”며 고무적인 소식을 전했다. Objet500 Connex3는 업계에서 유일하게 컬러 복합 재료 3D 프린터로 다양한 재료를 결합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 3D 프린터는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왔지만, 여전히 소재와 컬러 구현의 한계에 부딪혀왔다. 이런 상황에서 Objet500 Connex3 출시와 신소재 개발은 유저들에게 희소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장 주임은 “스트라타시스의 포트폴리오는 업계에서 가장 광범위하다. 약 150개의 Polyjet 광경화성 수지와 FDM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다”며 Polyjet방식과 FDM 방식에 대해 설명했다. Polyjet은 스타라타시스의 특허기술로 첨단 광경화성 재료를 매우 얇은 레어어로 층층히 분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미세한 형상 구현이 가능하며, 깔끔한 조도와 다양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다. 이런 특징 때문에 디자인적 요소가 중요한 분야에서 주로 채택한다. 그러나 엔지니어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강도와 내열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는 “FDM 방식도 Stratasys사에서 개발된 것으로 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판매대수 1위를 차지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장비”라며 “실제 엔지니어 플라스틱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동차 등에 실제로 장착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3D 프린터는 제조 산업의 패러다임에 혁명을 가져왔지만, 아직 금형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라며 “그러나 3D 프린터로 기존 제조방식을 보완하는 형태로 사용한다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Personal 3D 프린터의 상용화에 대해서는 “3D 프린터는 기본적으로 캐더를 설계할 줄 알아야 사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정작 캐더를 설계할 줄 아는 전문가들은 저가형 3D 프린터를 선호하지 않는다”며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내놨다.
하지만 “제조 산업 분야에서 3D 프린터의 입지는 점점 더 확장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소재 개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스트라타시스에서도 보다 다양한 소재와 컬러 구현을 위해 꾸준한 연구와 투자와 함께 시장의 수요를 발 빠르게 파악하고 있다.
장 주임은 “우리 회사 제품을 통해 시장의 수요를 창출하고, 3D 프린터 업계의 방향을 선도해나갈 것”이라며 포부를 밝혔다.
- 홍보영 기자 papersong@kidd.co.kr
Copyright ⓒ 산업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PCD 원형톱
- 기존의 초경 원형톱에 비해 현저한 수명차이(30~120배)를 보인다는 점에서, PCD원형톱은 대규모 작업장을 위주로 급속하게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공구의 수명이 이처럼 현저하다는 점만으로도, 작업장에서, 비용절감을 위한 기업들의 노력에 대단히 매력적인 강점이 있기 때문이다. 24시간 풀 가동을 하는 목공용 작업장등에서는 이제 PCD 원형톱을 켜기, 홈파기등에서 필수 공구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PCB) 제조 공정에서는 기판 절단에 유일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금하 PCD 원형톱은 기존의 초경 원형톱에서 쌓은 본사만의 노하우가 유감없이 발휘되는 주력 제품이다. 이미, 초경 원형톱의 국내 및 해외에서의 명성을 바탕으로, PCD 원형톱에서도 그 진가가 나타나고 있다.
업체명 | 제품명 |
---|---|
CemeCon AG | 금속코팅기술 |
Kokuhin International Co., Ltd | 드릴 부품, 헤드 |
PROTO | 마스터셋트, 툴박스, 툴케이스, 툴캐비넷 등 |
경서글로텍 | 산업용 청소기 |
금하초경산업사 | 초경 및 다이아몬스 절삭공구 |
내외엔티교역(주) | 특수강, 공작기계, 정밀측정기, 시험기 |
뉴세림테크 | 표준센타, 스페셜센타, 대형센타 |
다우상사 | 절삭공구 |
대진유압기계 | 유압실린더, 전동펌프, 유압공구 등 |
덕명 | 원형톱날, 원평나이프, 커터 |
동신툴피아 | 산업체간 B2B 거래사이트 제공 |
두손이엔지 | 프레스안전장치, 개인보호구 등 |